-
2023 청년 도약 계좌 가입 조건 및 방법 총정리 (청년희망적금 중복 여부)etc/경제, 재테크 2023. 6. 16. 00:35반응형
청년 도약 계좌의 모든 것 '청년도약계좌'라고 들어보셨나요?
정부는 청년들의 경제적인 독립과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금융 지원 정책을 펼치는데요.
6월 15일부터 11개 은행에서 운영을 개시하며,
은행의 어플을 이용해 평일 09시 ~ 18시 30분 사이에 비대면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제도인 청년 도약 계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청년 도약 계좌란?
앞서 간단히 말씀드렸지만 청년 도약 계좌는 청년을 위한 금융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5년 만기 상품입니다.
또한 단순히 적금처럼 운영되지는 않습니다.
청년들이 자산을 안정적으로 마련하기 위한 혜택들을 함께 제공하며 주요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특이사항
- 중간에 납입이 없어도 계좌 유지
- 개인 소득과 납입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매칭 지원
- 이자 소득에 비과세 혜택 제공
- 3년간 고정 금리 / 2년간 변동 금리로 운영
- 기본금리: 4.5%
- 은행별 우대금리: 0 ~ 1.0%
- 저소득층 우대금리: 0.5%
즉, 중간에 납입하기 어려워서 납입하지 않아도 계좌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정부가 정부 기여금을 지원해 줄 뿐만 아니라,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통해 만기 시 수령액을 더 많이 가져가도록 지원해 줍니다.
출처: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2. 청년 도약 계좌 가입 조건
그러면 이번에는 어떤 사람들이 가입할 수 있는지 가입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가입 대상: 개인소득 요건과 가구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 (만 19~34세*, 계좌 개설일 기준)
- 병역을 이행한 경우 최대 6년은 연령 계산에 포함하지 않음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 제한 (이자소득 + 배당소득 > 2,000만 원인 경우) - 개인 소득: 직전 과세 기간(22.01 ~ 22.12)의 총급여액을 기준으로 함
- 총급여액이 6,000만 원 이하인 경우: 비과세 + 정부 기여금
- 총급여액이 6,000만 원 초과 7,500만 원 이하인 경우: 비과세 - 가구 소득: 가구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1인: 3,500,661 원
- 2인: 5,868,153 원
- 3인: 7,550,461 원
- 4인: 9,217,944 원
3. 기타 참고사항
출처: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4. 마무리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비과세 혜택과 일부 기여금을 지원해 주니,
가입 조건을 확인해 본 후 본인의 상황에 맞춰서 신청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청년 도약 계좌의 모든 것'을 마무리하겠습니다.
반응형'etc > 경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지역구별 아파트 전세 평균 가격 (0) 2023.06.25 서울시 지하철 환승: 10분 내 재탑승 시 요금 면제 (0) 2023.06.13 전국 아파트 평균 가격 (0) 2023.06.10 서울 지역구별 아파트 평균 가격 (0) 2023.05.28 알뜰교통카드 삼성페이 등록하기 (0) 2023.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