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일지/경제 용어 공부
-
#06 [경제용어 완전 정복] 주가지수의 모든 것(feat. 코스피, 코스닥)주식일지/경제 용어 공부 2023. 1. 11. 22:58
기업은 거래소에 상장될 때 종목명과 종목코드를 받아서 구분이 된다. 그런데 코스피, 코스닥처럼 주가지수라는 것이 있다. 주가 지수는 무엇이고, 왜 만들어졌고, 어디에 쓰이는 것일까? 1. 주가지수란? 주식 시장에는 많은 회사들의 주식이 거래된다. 현재 코스피,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종목은 2,486개 정도이다. 2,486개의 종목이 각각 상승과 하락을 할 텐데 , 오늘 한국의 주식 시장이 어땠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겠는가? 이렇게 여러 종목의 움직임을 묶어서 주식 시장의 흐름을 한눈에 확인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주가지수이다. 주가지수는 보통 규모별, 업종별, 테마별 등 목적에 따라서 여러 종목들을 종합해 만들어낸다. 대표적인 것들이 코스피 200, 코스피 반도체, 코스닥 IT 등이다. 지수를 계산하..
-
#05 [경제용어 완전 정복]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주식일지/경제 용어 공부 2023. 1. 8. 02:14
그동안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다. 기업은 채권, 주식,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그런데 과연 기업은 어디서 투자자를 만나고, 투자자는 어디서 투자처를 찾을 수 있을까? 사람이 찾는 물건이 있으면 시장을 가듯, 기업과 투자자도 마찬가지로 시장을 간다. 그리고 그 시장의 이름을 우리는 '자본시장'이라고 부른다. 1. 자본시장이란? 자본시장이란 기업 자금의 공급과 조달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자본시장은 크게 대출 시장, 증권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업은 보통 차입, 채권, 주식의 방법으로 원하는 자금을 조달한다. 차입 = 대출 시장, 채권&주식 = 증권 시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가 기업에게 대출해줄 일은 거의 없고 채권과 주식을..
-
#04 [경제용어 완전 정복] 신주인수권부사채란 무엇일까?주식일지/경제 용어 공부 2023. 1. 4. 21:57
지난 경제용어 완전 정복 시리즈는 전환사채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더보기 2022.12.31 - [주식일지/스터디] - #03 [경제용어 완전 정복] 전환사채란 무엇일까? 그렇다면 이번엔 전환사채와 비슷하지만 다른 신주인수권부사채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인지상정 글을 쓰고 있는 2023년 1월 3일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결정 관련 공시를 1개월 기간으로 검색하면 10건이 나온다. 6개월로 기간을 설정하면 25개 정도로 엄청 자주 나오는 공시는 아니다. 하지만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자금조달 관련 공시로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당연히 무엇인지 어떤 영향을 미칠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1. 신주인수권부사채(BW)란 무엇인가? 신주인수권부사채, 맨 뒤에 사채가 붙어있는 것만 봐도 채권이라..
-
#02 [경제용어 완전 정복]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주식일지/경제 용어 공부 2022. 11. 21. 23:55
하고 있는 업무 특성상 기업의 대표님들을 뵙고 대화를 나눌 기회가 많았다. 그중 어느 대표님께서 우스갯소리처럼 하셨지만 인상 깊어서 기억하고 있는 말이 있다. "경영하는 사람끼리 하는 말 중에 이런 말이 있어. 경영자가 제일 잘 해야하는 일은 돈 빌리는 일이다." 경영자가 사업의 방향성을 정하고 이끄는 것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기업 경영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말씀이셨다. 물론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이 나의 삶과 무관하다고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상장사들의 자금 조달과 관련한 공시로 주가가 크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나와 같은 주린이들도 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알아두면 좋다. 그러면 지금부터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들을 가볍고 쉽게 알아보자. (기업은 내부 유보금 사용을 가장 좋..
-
#01 [경제용어 완전 정복] 주식과 채권은 그래서 뭐가 다른거야?주식일지/경제 용어 공부 2022. 11. 18. 23:10
요즘 MZ세대들의 최대 관심사는 재테크인 것 같다. 많은 청년들은 막연한 부자를 꿈꾸고, 파이어족이 되어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고 싶어 한다. 특히나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주린이'가 되어 주식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2022년 뜨거웠던 주식 시장이 급속도로 차가워지며 '채린이'라고 불리는 채권 입문자들도 많이 생겼다. 주식과 채권은 기업에 자신의 자산을 투자한다는 것에서 같지만 명확한 차이가 존재한다. 주식과 채권의 특징, 그리고 차이점을 안다면 자신에게 잘 맞는 투자 자산을 선택할 수 있고 더욱 좋은 투자 성과를 보일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주식과 채권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목차 1. 주식과 채권 2. 재무제표로 보는 주식과 채권의 차이 3. 결론 1. 주식과 채권 주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