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03 [경제용어 완전 정복] 전환사채란 무엇일까?
    주식일지/경제 용어 공부 2022. 12. 31. 19:15
    반응형

     

    경제용어 완전 정복 3탄

     

    지난 경제용어 완전 정복 시리즈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에서

    '전환사채'라는 용어를 언급한 적 있다.

     

    내용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그냥 넘어갔는데,

    투자를 하면서 전환사채라는 용어는 꽤나 보인다.

     

    글을 쓰고 있는 2022년 12월 28일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전환사채 발행 결정 관련 공시를 1개월 기간으로 검색하면 82건이 나온다.

    1개월 평균 영업일은 22일 정도이니 하루에 3~4건의 공시가 나온다는 뜻이다.

     

    자주는 아닐 수 있어도 전환사채 발행 결정 공시는 종종 보이니

    자자들은 전환사채 발행이 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부터 전환사채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전환사채(CB)란 무엇인가?

    전환사채

    전환사채는 흔히 CB로도 표현된다.

    CB는 Convertible Bond의 약자로 전환 + 채권이란 뜻을 가지는데

    당연히 무엇이랑 전환되는지가 궁금해진다.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채권이다.

     

    그러면 주식도 있고 채권도 있는데 왜 굳이 두 가지를 합친 전환사채라는 것을 발행하는 것일까?

    기업과 투자자의 입장에서 한번 생각해보자.

     

    기업이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이유

    기업이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 정도라고 생각한다.

    • 원활한 자금 조달
    • 자금 조달 비용의 최소화

    첫 번째, 원활한 자금 조달에 대한 내용부터 알아보자.

    기업도 개인이 갖는 신용점수처럼 신용 등급이라는 것을 갖는다.

    신용 등급이 높다는 것은 상환 능력이 높고 우량하다는 뜻이다.

    그렇기에 신용 등급이 낮은 기업이 신용 등급이 높은 기업보다 채권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울 것이다.

    이럴 때 채권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해 투자자 모집을 쉽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 자금 조달 비용의 최소화다.

    성장의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받는 기업들은 전환사채를 이용해 낮은 이율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요즘은 잘 보이지 않지만 금리가 낮았던 2020년, 2021년은 이자율 0.0% 전환사채 발행 공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짜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투자자들이 주식으로 전환을 해서 주가 상승분만큼의 이익을 기대했기 때문이다.

     

    투자자가 전환사채에 투자하는 이유

    투자자들이 전환사채에 투자하는 이유는 리스크 없이 주식과 채권의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채권이기 때문에 주가가 떨어진다고 원금이 줄어들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주가가 상승할 때는 주식으로 전환해 주가 상승분만큼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기업이 전환사채를 발행하고 투자자가 투자하는 이유를 간단하게 생각해 보았다.이제 전환사채 공시를 예시로 어떤 내용을 먼저 확인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2. 전환사채 공시에서 확인해야 하는 내용

    전환사채 공시는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어떤 종류인지, 총액이 얼마인지, 어디에 쓰는지, 전환가는 얼마인지 등등

    하지만 결국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은 그래서 주가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이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3가지를 확인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 기업의 전환사채 발행 목적
    • 전환사채로 인해 희석될 수 있는 가치
    • 전환 청구 및 조기 상환 청구 가능 기간

    1. 기업의 전환사채 발행 목적

    전환사채 공시 예시
    보통의 공시는 이런 형태로 나오고 20번 항목까지 길게 있다.

    가장 우선적으로 봐야 하는 내용은 얼마를 어디에 사용하는가이다. (2번, 3번 항목)

     

    일단 2. 사채의 권면 총액으로 전환사채의 규모를 확인하고,

    3. 자금조달의 목적으로 어디에 사용하는지를 확인한다.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것인지,

    그냥 회사가 돈이 없어서 급한 데로 자금을 끌어오기 위해 발행한 것인지를 확인해보는 것이다.

     

    기업의 성장을 위한 발행이라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자금난으로 인해 자금조달을 하기 위한 목적이라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2. 전환사채로 인해 희석될 수 있는 가치

    전환사채 공시 중 전환에 관한 사항 예시

    희석될 수 있는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봐야 하는 항목은 전환에 관한 사항이다. (보통 공시항목 9번에 나와 있다.)

    주식 투자자가 전환사채를 봐야하는 이유 중 한 가지는,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되기 때문이다.희석될 수 있는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주가 희석 예시

    만약 시가총액 1,000억인 기업에 전환사채 300억의 자금이 조달된다면,

    기업의 시가총액은 얼마가 되겠는가?

    기업의 본질이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1,000억 그대로일 것이다.

    하지만 전환사채가 주식으로 전환된다면 주식 수가 늘어나게 된다.

    기업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는데 주식 수가 늘어나 시가총액이 300억이나 늘어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렇기에 전환될 수 있는 잠재 주식 수가 늘어날 경우 주가가 하락할 수 있고,

    우리는 전환가액과 주식수, 주식 총수 대비 비율을 확인해 어떤 영향을 줄지 생각해봐야 한다.

     

    또한 우리가 흔히 픽싱이라고 부르는 전환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도 확인해야 한다.

    전환가액, 주식수, 주식 총수 대비 비율을 통해 지금의 전환사채가 희석시킬 수 있는 가치를 확인했다면,전환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을 확인해 주가 하락 시 추가 희석될 수 있는 가치는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수 있다.보통 주가가 하락하면 전환가액도 낮게 조정되며, 최저 조정가액을 공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주가가 계속 상승하면 좋겠지만 하락할 경우 최저 조정가액까지 희석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3. 전환 청구 및 조기 상환 청구 가능 기간

    전환사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채권에서 주식으로 전환된다는 것이다.

    근데 이 전환을 아무 때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전환 청구 시작일부터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9. 전환에 관한 사항전환 청구 기간에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고 희석될 수 있는 날짜는 전환 청구 시작일부터이다.

     

    또한 보통 전환사채에는 사채권자의 조기 상환 청구권(Put Option)이 포함되어 있다.

    조기 상환 청구권이란 사채권자가 조기에 채권 원금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주가가 하락하고 이율까지 낮다면 사채권자는 전환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빨리 원금을 상환받고 싶을 것이다.

    사채권자가 조기 상환 청구권을 행사한다면 기업은 자금에 대한 압박을 느낄 수 있다.

    자금 흐름에 적신호가 켜진다면 주가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시점을 확인해둘 필요가 있다.

     

    3. 결론

     

    지금까지 전환사채란 무엇인지, 전환사채 공시를 통해서 확인해야 할 내용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마지막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전환사채란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채권이다.
    •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목적에 따라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 전환사채로 인해 희석될 수 있는 물량을 확인해야 한다.
    • 전환 청구 시점, 조기 상환 청구 시점 등을 통해 전환사채의 중요 이벤트 시점을 확인해야 한다.

    지금까지 전환사채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전환사채가 무엇인지, 전환사채 공시를 어떻게 확인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는 분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